본문 바로가기
예능 그리고 교양

벌거벗은세계사 183회 '해저 2만리! 깊은 바다속은 왜 전쟁터가 되었나?'

by 드라마 보는 망고 2024. 12. 25.
반응형

벌거벗은 세계사 183회

'해저 2만리! 깊은 바닷속은 왜 전쟁터가 되었나?'

 

| 바닥속까지 정복을 꿈꿨던 알렉산드로스 대왕

최초로 해저 탐사를 한 세계사적 인물이 등장하는데 그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이다.

 

 

알렉산드로스 대왕
로대 마케도니아 왕국 26대 왕
전쟁에서 단 한 번도 패배하지 않은 역사상 가장 뛰어난 군사 지휘관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그리스, 이집트, 페르시아, 인도 북서부까지 역사상 가장 거대한 제국을 건설한다. 특히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집착했던 분야는 깊은 바닷속이었다. 기원전 320년경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바닷속 탐사에 성공한다.

 

이후 인류는 깊은 바다에 들어가려 많은 시도를 했지만 기숙적 한계로 실패하게 된다. 18세기 인류는 잠수복을 만들면서 바다로 들어가게 된다. 

 

이 잠수복은 움직임이 제한적이지만 기록에 의하면 수심 18m까지 잠수하는 데 성공한다. 바다를 탐험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들어가는 바다의 깊이가 궁금했다. 1840년 세계 최초로 바닷속을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한 인물이 영국의 해군대령 제임스 클라크 로스이다.

 

이 잠수복은 움직임이 제한적이지만 기록에 의하면 수심 18m까지 잠수하는 데 성공한다. 바다를 탐험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들어가는 바다의 깊이가 궁금했다. 1840년 세계 최초로 바닷속을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한 인물이 영국의 해군대령 제임스 클라크 로스이다.

 

제임스 클라크 로스
영국 해군 대령이자 탐험가
남극을 여러 번 탐사하고 로스해를 발견

 

로스 대령은 남국으로 향하던 도중 남대서양에서 바다의 깊이를 재려고 시도했다. 밧줄에 무거운 추를 달아 바다로 내려보내 풀린 밧줄의 길이로 바다의 깊이를 측정했다.

 

| 영국 챌린저호가 발견한 지구의 가장 깊은 바다?

영국은 해저 케이블 덕분에 가장 깊은 바다를 발견한다. 

해저 케이블
해저의 전기 통신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놓는 케이블

 

영국은 1872년 해저 케이블 사업을 위해 'HMS 챌린저호' 배를 파견한다. 해저 케이블 설치는 바닷속 지형을 자세히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챌린저호는 전 세계 해저 지형을 조사하고 분석하기 시작한다. 그러던 중 챌린저호가 태평양에서 깊은 바다를 발견한다.

 

발견한 깊은 바다는 이전 수심보다 약 4,000m 더 깊은 약 8,184m이다. 이 발견으로 태평양에 지구에서 가장 깊은 바다가 있다고 알려진다. 이 발견으로 깊은 바닷속 생물들 약 4,700종의 다양한 심해 생물을 발견한다.

 

당시에는 심해에는 아무 생물이 살고있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항해 후 무려 50권에 이르는 보고서를 발간한다. 영국 챌린저호의 탐사로 근대 해양학이 발전한다.

 

| 인류의 심해 탐사가 어려운 이유

① 강력한 수압

Q. 수압을 이용해 이것을 바닷속에서 실험하기도 합니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핵폭탄 실험 -강력한 수업이 폭발의 여파를 억눌러 주기 때문에 

 

 

② 위험한 어둠

어두운 바닷속은 조명 장비 없이 시야를 확보하거나 촬영을 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조명 장비가 있어도 쉽게 고장 나기 일쑤이고 빛이 없어 암초를 알아차리기 못해 충돌 사고의 위험까지 있다.

 

③ 극한의 추위

태양광이 없는 깊은 바닷속의 평균 온도는 약 2~4℃로 물은 공기보다 약 25배 빠르게 체온을 빼앗는다. 체온이 낮아지면 호흡이 느려지다가 심장이 멈춘다. 

 

심해 수온 약 0~5℃에서 인간의 기대 수명은 15분 내외이다. 

 

감히 심해 탐사를 시도하지 못했던 인류는 1930년 깊은 바다를 탐사하기 위해 나선 인물이 있었는데 인류 최초로 심해에 간 미국인 윌리엄 비브와 오티스 바톤이다.

 

뛰어난 해양생물학자였던 윌리엄 비브는 깊은 바닷속에 사는 생물들을 연구했다. 깊은 바닷속에 사는 생물들은 수면 위로 올라오면 환경의 변화로 변형되거나 죽는 일도 다반사였다. 

 

그러다 뛰어난 엔지니어였던 오티스 바톤을 만나 강한 수압에 견딜 수 있는 심해 탐사 전용 잠수정을 제작한다. 잠수정 내부에는 산소탱크, 기압계, 습도계, 공기 순환 장치 등을 설치했다. 이로써 세계 최초로 심해탐사에 성공한다. 

 

두 사람이 잠수정을 타고 도달한 수심 923m이었다. 

 

인류가 직접 깊은 바다에 내려갈 수 있게 된 후 심해 탐사는 기념비적인 전환점을 맞이한다. 그럼에도 한계점은 와이어에 매달린 채 일직선으로 잠수해 바닷속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는 게 불가능했다.

 

그런데 몰 속에서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혁신적인 잠수정이 탄생한다. 1950년 프랑스에서 개발한 잠수정이 바시스카프이다. 이전의 둥근 모양과 달리 유선형으로 만들어져 물의 저항을 적게 받아 이동이 수월했다.

 

강력한 동력을 줄 수 있는 엔진의 발전으로 더 깊은 곳에서 자유롭게 탐사할 수 있었다. 이 잠수정은 수심 약 4,176m까지 내려가게 된다. 

 

인류는 태평양에 위치한 가장 깊은 마리아나 해구*를 찾아낸다. 

마리아나 해구
지구에서 가장 깊은 해구로 '지구의 바닥'이라고도 불리며 가장 깊은 지점은 10,928m에 달한다.

 

마리아나 해구를 최초로 탐사한 나라는 미국이었다. 1960년 미 해군이 압력을 견디는 실험을 위해 잠수정 트리에스테호를 제작했다. 미 해군은 마리아나 해구의 약 10,000m 수심에서 9시간 동안 머물렀다.

 

 

| 심해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에 뛰어든 강대국들

# 강대국이 심해를 두고 싸우는 이유

① 생물자원

인류의 생로병사에 숨겨진 비밀을 밝혀낼 실마리를 찾기 위한 것이다. 심해 생물 연구로 신물질을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심해 생물의 방어 기제나 독성 물질을 연구해 새로운 의약품 개발에 도움을 받기도 한다.

 

열수분출공은 1977년에 발견했는데 심해에만 존재하는 특수한 지형이다. 그곳은 아마존을 뛰어넘는 생물의 보고로 불리는 곳이다. 

 

열수분출공 특징
1. 약 350℃의 뜨거운 물 분출
2. 황화수소인 독성 물질 분포

 

황화수소 15mg만으로도 사람을 죽게 만드는 독성이 강한 물질인데 놀랍게도 이 황화수소 덕분에 열수분출공에서 생물들이 살아간다. 미생물들이 열수구에서 배출되는 황화수소 포함 화학물질을 분해하며 에너지를 얻어 생물들이 살아갈 수 있었다.

 

열수분출공 근처에는 1㎡당 약 300~500 개체가 서식한다. 

 

현재 해양 생물 특허권의 98%를 독일, 영국, 프랑스 선진국에서 독점하고 있다. 심해 생물이 인류가 무병장수의 꿈을 이루는 중요한 열쇠이기 때문입니다.

 

② 보물선

대항해시대 이후 강대국들이 전 세계를 넘나들며 식민지를 개척했다. 이후 착취한 무역품과 귀중품을 배를 통해 운반했다. 오가던 배들 중에 자연재해나 사고로 침몰하는 경우가 다수였다. 바다에 가라앉은 보물선은 약 300만 척 정도 있다. 만약 보물선을 발견하면 수천억 원 이상의 이득을 예상한다.

 

심해 탐사 기술이 발전한 19세기부터는 보물선을 찾기 위한 여러 시도가 있었다. 1981년 스페인의 보물선 '산호세호'가 발견된다.

 

18세기 스페인은 남아메리카에서 치열한 식민지 쟁탈전을 진행했다. 수많은 금은보화를 식민지에서 본국으로 수송했다. 산호세호는 영국 함대와 교전 중 침몰한다. 결국 산호세호는 전설로 내려올 뿐 실체를 알 수 없던 보물선이었다.

 

약 300년이 1981년 미국의 보물 탐사 회사가 콜롬비아 인근에서 잔해를 발견한다. 

 

Q. 산호세호는 발견된 후 약 4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인양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유가 뭘까요?
여러 나라에서 산호세호 소유권을 주장

 

 

각 국가의 이익을 위한 산호세호 소유권 분쟁은 결국 국제 재판까지 초래했지만 발견은 했지만 여전히 인양하지 못하는 중이다. 

 

인양된 배도 있었는데 1985년 발견된 스페인 보물선 아토차호이다. 아토차호는 17세기 남아메리카에서 수탈한 보물을 가득 싣고 스페인으로 향했다. 항해 도중 헤리케인으로 인해 침몰했다.

 

미국의 해양 탐험가 멜 피셔는 1960년대 아토차호의 보물을 찾아 나섰다. 1985년 약 16년 만에 아토차호를 발견한다. 아토차호는 수심 17m 정도의 비교적 얕은 깊이에 있어 인양하기가 수월했다.

 

아토차호에서 인양된 보물의 금액은 약 3,500~7,000억 원이었다. 플로리다 정부와 다퉜는데 보물은 모두 멜 피셔가 차지했다. 

 

강대국들은 이익을 얻기 위해 심해 탐사와 개발에 투자하는 것이다. 심지어 심해 때문에 심각한 국제 분쟁도 발생한다. 

 

③ 광물자원

심해 속 광물자원은 바로 금이다. 열수 광상에서 나오는 뜨거운 물엔 다양한 금속 성분이 녹아 있는데 차가운 물과 만나면서 열수 광산 주변에는 금이 밀집되어 있다.

 

열수 광상은 바다의 금광

 

 

일본은 세계 최초 해초 특수 시트를 만들어 금광석보다 5배 정도의 금 채취에 성공한다. 심해에서 채굴할 수 있는 금의 가치는 한화로 무려 16경 3,000조 원에 달한다.

 

산업이 발달하면서 필수적인 신생 자원도 고갈되기 시작했다. 핵심 광물은 배터리, 신재생에너지, 수소 기술 개발 등에 핵심적으로 사용된다. 

 

희토류
희귀한 흙을 뜻하는 광물로 17개 원소가 합쳐진 것

 

희토류는 군수품 생산에 필수 자원으로 국가 안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중국은 희토류 채굴의 60%, 가공의 87%를 차지하며 세계 희토류 생산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은 희토류 시장에 약 70%를 장악하며 희토류를 무기화하여 총성 없는 전쟁을 벌이고 있다. 

 

| 핵심 자원 희토류! 중국과 일본의 팽팽한 기싸움

2010년 일본이 중국 선장을 체포하는 사건이 있었는데 중국은 이에 분노하며 희토류를 일본에 수출하지 않았다며 무역 보복을 했다. 희토류가 필요했던 일본은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심해에서 희토류 찾아 나선다.

 

희토류는 육상 전체 매장량의 800배 이상 해저에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은 망간 단괴를 집중 채취하며 해저에 매장된 희토류를 찾는 데 성공한다. 그 양이 무려 1,600만 톤이었다.

 

태평양에 망간 단괴가 가장 많이 있는데 태평양의 대부분은 공해이다.

공해
모든 나라가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바다

 

드넓은 공해에서 탐사권 선정을 위해 각축전을 벌이는 중이다. 우리나라도 이곳에 망간 단괴 개발할 광구를 확보해 둔 상태입니다. 남한 영토 75%인 약 7만 5,000㎢을 확보했다.

 

최근에는 해양 자원 확보를 위한 개발로 심해의 환경 파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재미있게 보셨다면 
구독 부탁드려요
* 인용된 사진과 문구는 해당 방송국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