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능 그리고 교양

벌거벗은세계사 69회 줄거리 로마의 반역자 기독교! 로마의 국교가 되다

by 드라마 보는 망고 2022. 10. 19.
반응형

안녕하세요~ 교양 보는 망고예요. 당신의 교양을 채워 줄 프로그램 벌거벗은 세계사 리뷰입니다. 오늘은 로마로 여행을 떠나네요. 벌거벗은 세계사 69회 리뷰 시작할게요.

 

반응형

 

출  연  진 : 은지원, 규현, 이혜성
초대손님 : 아드리아나 (이탈리아), 다니엘 린데만 (독일)
이야기꾼 : 군산대학교 역사학과 정기문 교수

 

팍스 로마나 - '로마의 평화'라는 뜻으로 아우구스투스가 내란을 수습하고 제정을 수립한 때부터 약 200년간의 안정된 시기

 

아우구스투스는 82개의 신전을 복구한 이유는 로마인의 삶에 가장 중요했던 종교때문이였다. 로마인들은 여러 신을 모시기 위해 판테온은 건설한다. 현존하는 건물은 서기 125년 하드리아누스 황제가 재건한 것이다.

 

로마는 여러 신들 외에 황제도 신으로 섬겼다. 이에 유대인들은 유일신만 섬긴다며 다른 신과 황제를 섬기는 걸 거부했다. 유대인들은 로마 황제의 주권을 인정하고 황제를 위해 기도를 약속했다. 로마 제국은 유대교합법 종교로 인정하게 된다.

유대교
천지 만물의 창조자인 유일신(야훼)을 신봉하면서 스스로 신에게 선택받은 민족임을 자처 메시아의 도래를 믿는 유대인의 종교

 

로마 제국의 속주 유대 땅 '베들레헴'에서 시작된 새로운 역사

 

 예루살렘에서 10KM 떨어진 작은 마을 '베들레헴'로 요셉과 임신 중인 마리아는 가게 된다.

 

Q. 요셉과 마리아는 아우구스투스 황제가 내린 명령 때문에 베들레헴으로 가게 된 것인데요, 어떤 명령이었을까요?  아우구스투스가 로마 제국 전역 인구 조사실시하라고 명령한 것

 

많은 사람이 몰린 관계로 숙소를 못 찾은 마리아는 마구간에서 아이를 낳게 된다. 그 아이가 예수이다.

 

 

예수가 태어난걸 기점으로 기원 전이 나뉘는데...

예수가 태어난 시기는 헤롯 대왕 죽기 전 기원전 6~5년에 태어난 것이 거의 확실한데, 기원후 6세기 신학자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가 예수의 탄생을 기원후 1년으로 잘못 계산한걸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그렇게 따지면 현재가 2026년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예수의 기적
물을 포도주로 바꾸고
병든 자와 눈먼 자를 고치고
보리 빵 5개와 물고기 2마리로 5천 명을 먹인 기적 (오병이어)

 

예수는 하나님이 왕이 되는 세상을 건설하자고 했다. 모두가 하나님의 자녀이고 누구나 구원받을 수 있는 세상을 의미했다. 예수를 추종하는 자들은 하나님을 신성이라 여기며 로마 황제를 부정하는 것이었다. 황제 숭배를 거부했고 제사도 지내지 않았다.

 

 

유대 지도자들이 예수를 탐탁지 않게 여기게 된다. 그 이유는

1. 유대 백성들이 예수메시아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메시아
"기름 부음을 받은 자"라는 뜻으로
세상을 구원하고 해방시키는 사람을 말한다.

 

타민족의 지배를 계속 받아왔던 유대인들은 하나님이 보낸 메시아가 유대를 독립시켜줄 것이라고 믿었다. 유대 지도자들은 예수가 메시아가 되어 로마 제국에 반란을 일으킬까 염려했다. 

 

 

2. 예수의 새로운 율법 때문이었다.

율법
하나님이 모세를 통해 유대 백성에게 명령한 종교 및 생활 규칙
대표적으로 십계명이 있다.

안식일에 상점도 문을 닫고, 요리도 하지 않고, 걷지도 않고 지내던 정통 율법을 예수는 율법에 기계적으로 얽매이는 것은 형식주의라고 주장했다. 지도자들은 예수가 잘못된 해석을 전파해 유대교를 파괴한다고 생각했다.

 

3. 유대인 대사제의 이익을 침범한 예수

제사를 주관하던 사제들의 우두머리를 '대사제'라고 한다.

예수는 하나님의 나라에는 성전이 없다고 했다. 제사를 지내는 일이 없다는 것이다. 대사제는 직업을 잃게 되는 것이다.

유대 지도자들은 예수를 메시아사칭했다는 이유로 로마 총독에게 고발한다.

 

당시에는 로마 총독만이 사형을 집행할 수 있었다. 빌라도 법정에 고발한 것은 예수를 처형하고자 한 것이다. 빌라도는 별다른 변론을 하지 않는 예수를 사형을 선고하고 십자가형에 처한다. 그렇게 예수가 죽고 신자들은 예수의 가르침을 전파하고자 새로운 종교를 만들게 되는데..

 

예수의 제자들은 세계 각지로 선교 활동을 나선다. 대표적인 선교자로는 베드로바울이 있다.  

 

예수는 베드로에게 하늘 문을 여는 열쇠를 주는데... 이를 보고 로마 교회는 베드로가 초대 교항이라고 한다.

바티칸에 성 베드로 대성당 가면 광장으로 이어지는 모습이 위에서 내려다보면 열쇠 모양이다.

 

 

65년경 기독교 역사의 전환점을 가져오는 사건이 발생한다. 로마가 기독교를 박해하는 첫 사건! 박해를 지시한 사람은 로마의 폭군 5대 황제 네로였다. 

 

64년 7월 로마에 큰 화재가 발생했는데, 네로가 화재를 냈다는 소문이 급속도로 처지면서 불을 보며 노래를 불렀다거나 악기를 연주했다는 얘기까지 떠돌았다. 이에 네로는 소문을 잠재우기 위하여

자신들의 악행 때문에 대중의 미움을 받고 있던 그리스도 교도에게 죄를 뒤집어씌우고 특별히 고안된 고문을 가하였다. 

 

종말론이 지배적이었던 당시 기독교는 화재를 종말의 징조로 삼았다. 이를 들은 네노를 기독교인들이 화재를 냈다고 뒤집어 씌우기로 한다. 

 

짐승의 가죽을 씌워 개와 싸우게 했고
십자가형에 처해진 신자들
기름을 바른 옷을 입혀 기둥에 묶어 횃불로 쓰기도...

베드로도 십자가형에 처해졌고, 바울도 로마에 의해 순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로마 제국과 기독교가 충돌했던 이유는

첫 번째 이유 - 고대 사회 뿌리 깊은 차별 때문

민족별로 각각의 공동체를 구성하고 살던 고대사회는 다른 민족이나 다른 공동체는 동등한 인간으로 보지 않았다. 온전한 인간이 아님으로 전쟁과 노예가 정당화된 사회였다. 당시 로마는 귀족, 평민, 노예의 계급사회였다. 당시 노예는 전체 인구의 30%를 차지했다. 당시 여성은 남성의 통제를 받던 열등한 존재로 인식되었다. 남녀차별이 심했던 사회였다. 

 

반면 기독교는 모든 사람이 동등한 새로운 공동체를 꿈꿨다. 또한 신분 차별에 반대했다. 교회 내에서 모두 동등한 신분으로 형제 또는 자매로 불렀다. 기독교는 남녀차별 없는 평등을 가르쳤다.

 

 

Q. 당시 로마 제국에선 기독교로 개종한 일부 사람들이 '이것'을 거부해서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됐는데요, 고소와 재판까지 이어졌던 '이것'은 무엇일까요?   결혼 거부

 

 

두 번째 이유 - 기독교에 대한 나쁜 소문과 편견

 

Q. 로마 제국에서는 기독교의 성찬식을 오해한 거짓 소문이 퍼졌는데요, 어떤 소문이었을까요?
예수는 빵을 주면서 '이것은 나의 몸이다' 포도주를 주면서 '이것은 나의 피다'라고 했다. 이를 기독교인들은 식인을 한다고 생각했다.

 

세 번째 이유 - 도덕성을 중요시한 기독교

로마인들이 흥청망청 즐겼던 것은 술이었다. 성생활도 문란하게 즐겼다. 

이것은 매춘광고이다. 십자가 → 교차로 의미, 왼쪽 발 → 방향표시, 여성 → 매춘부 의미, 동전 구멍만큼 돈이 있다면 방문해서 사랑을 나눠요. 아래 네모 박스는 ① 외장 장부 ② 도서관으로 해석한다. 

 

Q. 대리석에 새겨진 발 모양은 방향을 나타내는 것 외에 한 가지 용도가 더 있었는데요, 어떤 용도로 쓰였을까요?
미성년자를 발 크기로 판별 (이 발 사이즈가 안 되는 사람은 오지 말아라!)

기독교는 신자들에게 도덕성을 강조했다. 잘못을 저지르면 비난을 받거나 출교를 당했다. 

 

 

당시 로마인이 기독교인을 불렀던 말은? 제3의 종족

 

제1의 종족 로마인 = 정상적인 사람

제2의 종족 유대인 = 약간 이상한(?) 사람

제3의 종족 기독교인 = 존재 자체를 용납할 수 없는 사람

 

트라야누스는 기독교를 불법 종교이며 사형을 내릴 중죄로 규정했다. 기독교를 믿는다는 이유로 고발당하면 변론도 못하고 사형을 당해야 했다. 

 

 

튀르키예의 이즈미트에서는 기독교 대박해가 행해지는데.. 이때 로마 황제가

황제 즉위 당시 정치적으로 혼란한 상황이었다. 234년~284년 약 50년의 기간 동안 26명의 황제가 교체된다. 암살이나 쿠데타가 일어나 황제들이 사망한 것이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로마제국을 4 분할 체제로 운영한다.

 

 Q. 기독교에 우호적이었던 디오클레티아누스가 기독교를 박해하기 시작한 결정적인 이유는 무엇일까요?
군대 병역 의무를 거부했기 때문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다음 황제인 갈레리우스는 박해를 몇 년 동안 계속했으나 끊임없이 저항하는 기독교를 이기지 못하고 실패를 인정하게 된다. 그 후 박해 중단 명령을 내린 후 갈레리우스는 사망한다.

 

막센티우스와 콘스탄티누스는 라이벌로 전쟁을 벌이는데 콘스탄티누스는 꿈에 신의 계시를 받는다. '방패에 XP를 새기로 나가면 승리할 것'이라는 계시였다. 밀비우스 다리 전투에서 승리를 거둔 콘스탄티누스.

 

 

수백 년간 이어진 기독교 박해는 끝나게 된다. 당시 로마 전역에서 폭발적으로 늘어난 기독교 신자들을 보고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기독교인들을 제국의 협력자로 포섭하기로 한다.  

 

[콘스탄티누스 시행 정책]
1. 기독교에 물적 후원
2. 기독교 성직자 부역 면제
3. 취약 계층을 돕는 기구 설치
4. 성경 보급으로 기독교 전파

 

Q.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숨을 거두기 직전, 어떤 특별한 의식을 치렀는데요, 어떤 의식이었을까요?
죽기 직전에 세례를 받은 콘스탄티누스 황제

 

테오도시우스 황제는 기독교를 국교로 만든다. 이는 인구의 80%가 이미 기독교인이었고 이를 정치적 영향력을 고려해 수용한 것이다. 이후 기독교는 황제의 권력을 등에 업고 박해를 받던 종교에서 박해를 하는 종교로 탈바꿈하게 된다. 기독교는 로마 제국 전역의 신전을 파괴 후 그 자리에 자신의 집이나 성당을 지었다. 신전 대부분은 복원된 것이고 판테온 신전 역시 후세에 성당으로 개조된 형태로 남아있게 된 것이다.

 

Q. 로마 제국의 기독교 국교화 선언 후 금지된 이교도 행사는 무엇일까요?
고대 올림픽을 중단한다.

 

이후 약 1,500여 년 만에 다시 개최되고 있는 세계 선수권 대회

 

 

오늘의 벌거벗은 세계사 39회 리뷰를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재미있게 보셨다면

구독 부탁드려요

 

* 인용된 사진과 문구는 해당 방송국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