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거벗은 세계사 179회
'늙지도 죽지도 않으려는 인간의 욕망 - 영생의 역사'
| 사후세계에서 영생을 꿈꾼 고대 이집트
고대 이집트 종교에 따르면 사후세계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영생과 부활의 상징 오시리스 신의 심판에 따라 영생을 결정했다. 고대 이집트인은 현세와 같은 환경에서 영생할 것이라 믿었다.
| 진시황제, 현세에서의 영생을 꿈꾸다!
13세의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오른 진시황제는 늘 암살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다. 늘 두려움에 시달렸던 진시황제는 불로초를 찾기 시작한다. 그리고 여러 약초를 불사의 약을 만들도록 지시했다. 불로초를 찾지 못하면 분노하여 신하들을 처형하기도 했다.
진시황제
기원전 221년 중국을 최초로 통일 중앙집권 체제를 확립하고 막강한 권력을 손에 쥔 황제
진시황제 앞에 불사의 약을 찾아주겠다는 서불이 등장한다. 서불은 도교 사상을 연구하던 인물이었다.
○ 서불의 요구 조건
- 선박 60척
- 금은보화
- 어린 남녀 3천 명
첫 항해를 마치고 돌아온 서불은 아무것도 찾지 못했지만 블로초를 찾기 위해서는 더 많은 지원을 요구했고 진시황제는 이번에도 지원을 해주었다. 두 번째 항해를 떠난 서불은 돌아오지 않았다.
불로초를 얻지 못한 진시황제는 4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진시황제는 기원전 246년 왕위에 오르자마자 무덤을 건설하기 시작한다. 이 무덤은 약 40년간 지어졌다. 진시황제는 사후세계에서도 영광을 누리며 살고자 지은 거대한 무덤이다. 진시황 무덤은 지하 4층 규모의 지하 궁전이다.
사후에도 암살을 대비해 무덤 인근에 병마들을 배치했다. 그것이 바로 병마용갱이다.
병마용갱
진시황릉 인근에서 발견된 흙으로 만든 실물 크기의 병사들
무덤 안에는 8천여 점의 병사와 130개의 전차, 520점의 말로 구성되어 있다. 전문가들은 진시황릉의 완전한 발굴까지는 약 백 년이 걸릴 것이라고 한다.
| 영생에 대한 인식의 변화 - 기독교의 탄생
기독교는 신을 믿기만 하면 누구든 영생할 수 있다고 믿었던 것이다. 서기 313년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기독교를 공인하며 유럽 전역에 전파되었다. 기독교의 영생에 대한 종교관이 유럽 문명의 중심축으로 발전한다.
| 학문을 통해 영생을 꿈꾸다 《연금술》
연금술사들은 금이라는 것은 영원히 녹슬지 않는 가장 완벽한 물질이라고 여겼다. 변하지 않는 금의 비밀을 알아내면 영생을 얻을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
현자의 돌 (Philosopher's Stone)
수은과 같은 비금속을 금이나 은으로 바꿀 수 있는 신화적인 연금술 물질
Q. 유럽에서는 불로불사의 재료로 이것도 활용되는데요. 이것은 무엇일까요?
생명과 영혼을 지닌 신성한 물질 = 피
인노첸시오 8세
제213대 교황이자 마녀 사냥으로 수많은 사람들을 학살한 인물
인노첸시오 8세 당시 68세 병에 걸려 사경을 헤매던 중 죽음을 받아들일 수 없던 그는 의사의 조언으로 건강을 되찾기 위해 젊은 피를 찾아 나선다. 교황은 소년들의 팔에 상처를 내 피를 마셨다고 전해진다. 엄청난 양의 피를 흘린 탓에 소년들이 죽었을 거란 이야기도 있다. 피를 마신 교황도 살아남지는 못했다.
| 피에 집착한 사상 최악의 악녀 등장
후대의 이야기에 따르면 엘리자베스 바토리는 간질을 앓았다고 한다. 평소 감정의 기복이 심했던 바토리는 하녀가 흘린 피를 보고 발작을 멈추게 되었다.
엘리자베스 바토리
헝가리 왕국 출신의 백작 부인
이때부터 피에 집착하게 된 바토리는 직접 사람의 팔이나 가슴, 목을 물어뜯어 생피를 빨아 마시기도 했다고 한다. 바토리는 피를 모아 목욕을 하며 피의 잔치를 벌였다.
바토리는 철의 처녀라는 고문 기구를 이용해 소녀들의 피를 모았다고 한다. 기록에 따르면 바토리는 10년 동안 무려 612명을 살해했다고 한다. 생존자의 피해자 가족에 의해 모든 번죄 행위가 발각되어 결국 바토리는 화형에 처해졌다.
이렇게 행해진 중세 유럽의 잘못된 시도들은 점차 과학과 의학의 발달로 사라졌다.
| 영생에 대한 과학적 접근 《내분비학》
클로드 베르나르는 생리학적인 활동과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는 내분비학의 개념을 정의한다.
내분비계
체내에서 호르몬을 생성하고 분비하여 다양한 인체 기능을 조절하고 통제하는 기관
브라운 세카르는 혈관에 특정 화학 물질을 주사해 순환시켜 기력을 증진하는 방법을 고안한다. 1899년 파리에서 회춘 주사를 발표한다.
Q. 브라운 세카르가 만든 회춘 주사를 동물의 신체 기관 중 하나인 이것의 분비물을 주재료로 활용했는데요. 무엇일까요? 어린 개와 기니피그의 고환을 으깨 추출한 액체에 정액을 더한 것
히포크라테스는 고환과 정액을 생명을 상징하는 기관으로 생각했다. 브라운 세카르는 고환의 기능을 되살리면 다시 젊어질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고환과 정액을 활용해 회춘 주사를 만들었다.
# 영생을 위한 인류의 도전
1. 호르몬을 이용한 회춘 요법
세카르의 회춘 주사를 보고 학자들은 말 같지 않은 소리라고 비평했지만 회춘 주사는 사람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브라운 세카르가 주사를 맞고 5년 뒤인 76세에 뇌졸중으로 사망하면서 회춘 주사의 인기는 끝난다.
러시아 외과 의사 세르주 보로노프가 고안한 회춘 수술이 사람들의 관심을 받는다. 이집트에도 왕의 여인을 돌보기 위한 환관들이 존재했는데 이들에게 보이는 독특한 특징이 있었는데 노화였다. 45세에 죽은 환관은 90세로 보이기까지 했다고 한다.
나이보다 늙어 보이는 환관들을 보며 브로노프는 고환에서 생성되는 분비물의 결핍이 노화의 원인이라 생각한다. 1910년 파리에서 병원을 개업해 자신의 가설 증명을 결심한다.
1917년 염소의 고환 이식 수술을 시작으로 1918년 어린 숫양의 소환을 늙은 숫양에게 이식하게 된다. 수술 결과는 늙은 숫양에게 고환 세포 이식 수술 후 털이 굵어지고 성욕이 향상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다른 동물들에게도 약 120번의 실험을 거치며 고환과 노화의 관계성을 점점 확신했다. 브로 높은 가장 인간과 비슷한 원숭이 고환으로 실험하기로 결정한다. 브로노프는 어린 원숭이의 고환을 얇게 썰어서 환자의 고환에 이식한다.
회춘 수술이 인기가 많아지자 보로노프는 수술 재료인 고환 공급을 위해 그리말디에서 아프리카 원숭이를 기르기 시작한다. 그곳에서 밀려드는 고환 수요를 맞추기 위해 원숭이를 집단 사육했다.
수술 직후 회춘할 수 있다는 심리적 기대로 인해 플라시보 효과를 보였다. 플라시보 효과를 보인 초기의 환자들이 연이어 사망하면서 회춘 수술은 신뢰를 잃게 된다. 의학적인 관점에서도 회춘 수술은 효과가 없었다.
예전에는 페스트, 콜레라등 전염병으로 인해 주로 사망했다면 현대에는 심장병, 암과 같은 노화로 인한 질병으로 사망한다.
2. 전례 없는 생체실험 장기 이식
데미코프는 인간 장기 이식에 대해 탐구하고자 1937년 세계 최초의 인공 심장을 개발한다. 그는 심장, 폐 이식 등의 수술을 성공시킨 소련의 천재 의사이다.
블라디미르 데미코프
소련 외과 의사
생체 이식 수술의 선구자
그는 악마의 실험이라고 불리는 큰개의 머리 위로 작은 개의 머리와 앞다리를 이식했다. 장기 이식 연구의 일환으로 유전적으로 밀접한 부모, 형제 개를 같은 몸을 공유하는 한 마리의 개로 만드는 실험을 진행했다.
데미코프는 손상된 장기 교체 연구를 위해 머리 이식의 가능성을 실험한 것이라고 한다. 그는 큰 개의 심장과 또 다른 인공 심장으로 원활히 피가 돌게 되도록 수술했다고 한다. 수십 마리 개들의 최장 생존 기간은 겨우 29일에 그쳤다.
이 실험은 아이러니하게도 장기 이식을 할 때 이식 기술, 면역 억제, 신경 연구 등의 한계를 이해하는 데 밑거름이 되기도 했다고 한다.
Q. 장기 복제에는 인간과 장기 크기와 구조가 가장 비슷한 이 동물이 활용되는데요. 어떤 동물일까요?
돼지
유전자 가위 기술
DNA에 생긴 돌연변이 부분을 잘라내고 정상 DNA를 삽입해 유전자를 편집할 수 있는 기술
돼지에게 유전자 가위 기술을 적용한 후 복제한 장기를 인간에게 이식하는 방법이 장기 복제다. 이 방법으로 실제로 수술을 받은 사람들이 있다고 한다. 하지만 몇 달 후에 사망했다.
재미있게 보셨다면
구독 부탁드려요
* 인용된 사진과 문구는 해당 방송국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