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양 보는 망고예요.
세계인들이 사랑하는 도시 파리는 어떻게 낭만의 도시가 되었을까요? 벌거벗은 세계사 96회 줄거리 리뷰 시작합니다.
벌거벗은 세계사 95회 '측천무후! 당 제국의 재앙인가, 위대한 여황제인가?' (tistory.com)
벌거벗은 세계사 95회 '측천무후! 당 제국의 재앙인가, 위대한 여황제인가?'
안녕하세요~ 교양 보는 망고예요. 철저한 남성 중심 사회! 중국 5천 년 역사 속 유일한 여황제가 탄생하다! 그 주인공은 바로 측천무후! 평민 출신 14살 어린 소녀가 궁에 들어가 세계 최대 대제국
youngandyoung.tistory.com
선문대학교 사학과 임승휘 교수
Q. 18세기 대다수의 파리 시민은 집에서 본 용변을 어떻게 처리했을까요? 요강에 볼일을 본 후 창밖에 던져서 처리
18세기 파리는 오물로 뒤덮인 시궁창 같은 모습이었다고 한다. 당시에는 해부가 끝난 시체를 센강이나 길거리에 버려지는 일이 많았다고 한다.
콜레라는 주로 오염된 물이나 어패류 등을 통해 감염되는 전염병으로 센강이 오염되면서 콜레라가 대확산되게 된다. 콜레는 파리뿐 아니라 프랑스 전역으로 퍼졌고 약 3,600만 명 중 무려 10만여 명 정도가 사망한다.
영국의 산업혁명을 쫓아 급격한 산업화에 돌입한 파리는 위생관리에 신경 쓰지 못한다.
일자리를 찾아 파리로 몰려온 사람들로 파리의 인구는 약 100만 명에 이르게 된다.
프랑스를 자주 오가던 영국의 한 관리가 프랑스에서 세계박람회를 준비한다는 소식을 듣고 영국에 돌아가 빅토리아여왕의 남편인 앨버트 대공을 찾아 이 소식을 전하는데 앨버트 대공은 그럼 영국이 프랑스보다 먼저 세계박람회를 개최하면 영국이 세계 무역과 경제를 주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1851년 영국이 최초의 세계박람회 개최
영국은 박람회의 얼굴인 박람회장을 심혈을 기울여서 지었는데 그렇게 탄생한 것이 수정궁이다. 수정궁은 석재나 벽돌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1850년대 당시 최신 건축 기술의 표본이었다. 당시 관람객은 약 630만 명으로 주최 측이 거둔 수익만 18만 6천 파운드(현재가치 약 2,400억 원)였다.
나폴레옹 3세는 파리를 명품 도시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히며 1855년 파리 세계박람회를 개최한다. 프랑스 산업궁전은 영국의 수정궁보다 2배가 넘는 크기로 지어졌다. 그러다 외관이나 내부가 영국의 수정궁과 비슷하여 수정궁에 비해 뭔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파리 세계박람회의 관람객은 약 516만 명으로 영국의 관람객 630만 명에 비해 적은 관람객이었다. 수익면에서도 적자를 보게 된다. 1855년 첫 파리 세계박람회는 표면적으로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 1855년 파리 세계박람회의 특별한 성과 - 미술품 전시
프랑스는 세계박람회를 통해 프랑스가 예술의 나라임을 세계에 각인시키는 계기된다.
Q. 프랑스는 영국와이 차별화를 위해 세계박람회에 출시된 적 없는 이것을 선보이는데요 무엇일까요?
보르도 와인
# 1855년 파리 세계박람회의 특별한 성과 - 보르도 와인
파리 개조 프로젝트 ① 직선 도로 건설
나폴레옹 3세의 지시로 파리를 개조하기 위해 오스만 남작이 처음 시작한 것은 직선 도로 건설이었다. 오스만 지사는 직선 도로를 만들기 위해 기존 건물들을 철거하기로 한다. 1859년부터 1860년까지 약 1년 동안 2만여 채의 가옥을 철거한다. 강제로 도시를 떠나게 된 빈민층은 약 2만 5천 명이었다고 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지금의 파리의 모습이 이때 탄생한 것이다. 오스만의 직선도로로 교통 문제 해결과 장중한 전망이 제공되었다.
파리 개조 프로젝트 ② 오스만식 아파트 건축
오스만 지사는 노트르담 성당이나 판테온 같은 역사적인 기념물이 돋보여야 한다고 생각했다. 오스만식 아파트는 단조롭다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주거 문화로 자리 잡게 된다.
오스만 지사의 건축 규칙
① 건물 높이와 도로의 너비가 비례할 것
② 같은 도로의 건물 높이는 같을 것
당시에는 엘리베이터가 없었는데 현재는 1,2명 만 들어갈 수 있는 작은 엘리베이터가 존재한다.
파리 개조 프로젝트 ② 상하수도 정비
오스만 지사는 오물은 하수도로 처리하고 상수도로는 하루 1만 리터의 물을 공급했다. 이로 인해 파리는 오물과 악취에서 벗어나 생활환경이 개선되었다.
Q. 1878년 파리 세계박람회에서 프랑스가 선보인 이것은 당시 큰 화제가 되어 포스터에도 등장했는데요 무엇일까요? 관광용 열기구
1889년은 프랑스혁명 10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한 시간으로 역대급 흥행보증수표의 필요성을 느낀 파리는 300미터 높이의 탑을 건설하기로 한다.
에펠은 파리 300m 건축물 공모전은 자신을 위한 기회라고 생각하고 응모한다. 공모전 1등을 차지한 에펠.
Q. 공모전에 뽑힌 에펠의 디자인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 하나 있는데요, 무엇일까요?
에펠탑의 최초 디자이너는 에펠이 아니다
당시 에펠은 설계 회사를 운영하고 있었는데 에펠 회사에 소속된 세명의 건축가들이 합작해서 내놓은 디자인이었다.
에펠탑 건축 위기 - 자금 부족
1889년 박람회 조직위원회는 에펠탑의 성공에 의구심을 품고 자금을 에펠이 해결하라고 한다. 에펠을 주식회사를 세워 은행으로 대출을 받아 자금문제를 해결한다.
에펠탑 건축 위기 - 건축 논란
박람회가 끝나면 건축물들은 전부 철거하는데 에펠탑은 에펠에게 20년 소유권이 있어서 철거하지 못했다. 에펠은 대중에게 탑의 설계와 제조에 문제가 없음을 직접 설명한다. 주민들이 걱정하는 피해에 대해 전적으로 책임질 것을 약속한다. 이로 탑에 대한 논란도 사그라들기 시작한다.
에펠탑은 공개 첫 주에만 3만여 명의 관람객을 동원한다. 2층을 올라가는데 674개의 계단을 걸어서 올라가야 풍경을 마주할 수 있었다. 박람회 기간 약 6개월 동안 약 200만 명이 방문하게 된다. 에펠은 박람회 기간에만 650만 프랑(현재가치 약 320억 원)의 이익을 봤다.
1900년 프랑스 세계박람회에 대한민국도 참여했는데 비단과 악기등을 출품했다고 한다.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되면서 1940년 파리를 점령한 독일군과 히틀러는 에펠탑을 보기 위해 방문한다. 파리의 상징인 에펠탑에 나치 독일의 수장이 올라가는 건 프랑스의 자존심상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 시민들은 에펠탑 엘리베이터 줄을 끊어버린다.
패전을 감지한 히틀러는 파리를 점령하고 있던 독일군에게 파리를 파괴하라는 명령을 한다.
재미있게 보셨다면
구독 부탁드려요
* 인용된 사진과 문구는 해당 방송국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